본문 바로가기
경제

신용등급, 팍팍 올라가는 법

by 맑은밤밝은달 2023. 12. 16.
반응형

신용등급

다들 한 번씩 들어본 단어 일 겁니다. 

이 신용등급에 낙담 하기도 하며

나도 모르는사이에 내 신용등급이 오르락내리락 

하고 있지는 않으신가요?

 

그럼 과연 이 신용등급이라는것이 무엇이길래 

이렇게 파도를 타며 오르락 내리락 하는 것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자. 일단 신용등급.

과연 이 신용등급이라는게 무엇인지 먼저 알아야겠죠?

 

 

먼저, 2021년 이후 부터는 등급제에서 점수제로 변경됨으로써,

'신용점수 올리는 법'이라 표현하는 것이 올바른 표현법입니다.

 

그럼 다시 말해보자면 신용점수가 무엇인지를 알아야겠죠?

 

 

신용점수란?

 

 신용조회회사 및 금융회사가 금융소비자의 향후 1년 내 90일 이상 연체 등이 발생할 가능성을 수치화한 지표

 

그렇다면 이 신용점수는 왜 2개일까요?

 

개인의 신용평가하는 국내의 대표적인 기업인 NICE와 KCB의 신용점수를 각각 보여드리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왜 점수가 다를까요?

신용평가사마다 신용점수를 평가하는 방법과 비중이 다르기 때문이죠

 

 

그럼 어떻게 이 신용점수를 평가할까요?

신용평가사에서는 상환이력, 부채 수준, 신용거래기간, 신용거래형태 이렇게 크게 4가지 항목을 가지고 신용점수를 평가하는데요, 여기서 각 평가사마다 항목 별로 중요하게 보는 비중이 다르기 때문에 신용점수 결과가 각각 다르게 나타납니다

 

평가항목 NICE KCB
상환이력 31% 21%
부채수준 26% 24%
신용거래기간 13% 9%
신용거래형태 30% 38%
비금융 신용정보 - 8%

 

※ 상환이력: 대출, 신용카드, 세금 등 지불할 돈을 제때 갚았는지의 이력

부채 수준: 대출과 신용카드 대금 보유 수준

신용거래기간: 신용카드, 대출 등 신용거래활동을 얼마나 오래 했는지의 이력

신용거래기간: 신용카드, 대출 등 신용거래활동을 얼마나 오래 했는지의 이력

신용거래형태: 은행대출, 할부대출 등 여러 형태의 신용거래를 얼마나 적절히 이용했는지의 이력

비금융 신용정보: 국민연금, 건강보험, 통신비 납부 등을 성실하게 납부했는지의 이력

 

 

그렇다면 이렇게 신용점수를 조회하면 좋은 점이 뭐가 있을까요?

 

내 신용점수를 조회하면 그동안의 대출 및 카드 내역 등 전반적인 금융생활 점검이 가능합니다.

어떤 이유로 신용이 오르고 내렸는지 알아야 대비책을 세우겠죠?

적을 알아야 백전백승 아닐까요?

 

그럼 언제 다들 신용점수를 조회하는지 아시나요?

 

보통 대출을 필요할 경우 조회를 하는데요

 

이때 만약 생각보다 신용점수가 낮다면?

 

1. 이자율=신용점수가 높은 사람 〈 신용점수가 낮은 사람 

2. 일정점수 이하일 경우: 대출 제한 및 신용카드 한도제한 or 발급거부

 

자, 그렇다면 신용점수가 낮은 경우는 어떤 경우일까요?

 

첫 번째, 대학생 및 사회초년생

 

아마 이 경우 '난 빚도 없고 아직 아무것도 내 신용을 낮게 하는 행위를 한 적이 없는데 왜 낮을까?'

라는 생각을 하실 텐데요. 

 

그 이유를 알려드리겠습니다. 

대학생과 사회초년생의 경우, 기본적으로 평가를 할 수 있는 도구 자체가 없습니다.

즉, 다시 말하면 사회활동을 제대로 하지 않았기 때문에 이 사람의 신용을 판단할 수 있는 기본 자료가 없다라고 생각하면 

이해하기가 쉬울까요?

물론 , 오히려 학자금 대출이 있으신 분들은 오히려 신용점수가 더 높을 수도 있습니다.

연체 없이 잘 상환하고 있다는 전제지만 말이죠. 

 

두 번째, 대출의 상환이 늦어지는 사람

뭐 이건 당연히 신용점수가 낮아지는데 영향을 줄 수밖에 없겠죠?

 

세 번째, 카드 연체가 있는 사람.

연체가 있는 경우, 당연히 낮아질 수밖에 없습니다. 

 

그렇다면 우리는 신용점수를 왜 올리고자 할까요?

신용점수가 좋다는 건=신용이 좋다는 것

따라서, 대출 심사 및 카드 심사에서 통과하는데 유리할 뿐만 아니라 카드 및 대출 한도도 늘어나며 

대출 금리는 더 낮아집니다. 

 

이해하기 쉽게 다시 설명을 하자면 1000점에 가까운 고신용자와 600점 이하의 저신용자가 1억씩 빌릴 때 1년 이자금액은 

차 한 대 값인 2,000만 원 정도의 차이가 나므로

신용관리 자체가 돈 아닐까요?

 

자, 그럼 본론으로 다시 들어가

 

신용점수 올리는 법 

 

과연 어떻게 하면 신용점수를 올릴 수 있을까요?

대출을 잘 갚으면 올라간다고 했으니 고이자율로라도 대출을 해서 갚으면서 신용점수를 올려야 할까요?

 

1. 신용  카드 사용 

 

신용카드를 발급받아 연체 없이 잘 사용한다면 신용점수 올라가는데 큰 비중을 줍니다. 

신용카드 역시 대출과 같습니다. 

돈을 빌리고 갚는 방식. 선결제  ☞ 후지불 방식입니다. 

한도를 정해 놓고 한도의 50%만 쓰는 것으로 소비관리를 잘하면 신용점수는 꾸준히 오릅니다. 

 

2. 체크카드 사용하기

 

체크카드는 내가 가지고 있는 돈에서 지불하는 방식입니다. 

대출의 방식은 아니지만 그래도 내가 가지고 있는 돈을 쓰는 것이니 체크카드의 비율이 높다면 그만큼 자산의 비율이 높다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3. 연체하지 않기

 

당연한 소리지만 연체한다면 당연히 신용점수가 떨어지겠죠?

 

간략하게 세 가지 방식으로 정리해 보았는데요. 

아마 다들 "나도 이 정도는 알고 있다"라고 생각 하 실 수 있는데요. 

 

그렇다면 조금 빠른 방법으로 모르실 것 같은 방법을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바로 , 

 

※ 카카오 뱅크로 신용점수 올리기

 

 

 

이렇게 하면 5분도 걸리지 않고 바로 내 신용정보를 반영해 올릴 수 있습니다. 

 

자, 다들 이제 한번 시행해 볼까요?

반응형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용카드, 이것만 알아도 꿀템!  (0) 2023.12.11